Poitiers, Enguibert de Marnef, 1560.
3부 1권 작은 4절판: I/ (1) f.bl., (4) ff., 127 pp., (1) p.bl. ; II/ 57 pp., (3) pp.bl. ; III/ (4) ff., 90 pp., (1) f.bl., 56개의 완전 페이지 삽화 번호가 매겨진 연속물 (총 57개 중) 후속 묶음, (1) f.bl. 당시의 갈색 화강암 무두질 가죽 제본, 누르지 않은 삼중 실선으로 표지를 둘러싸고 있음, 세밀하게 장식된 리브 백, 장식된 컷, 빨간 가장자리. 18세기 제본.
205 x 146 mm.
이름이 널리 알려진 『터키 공화국』이라는 일반 제목하에 이루어진, 동양학자 기욤 포스텔(1510-1581)에 의해 쓰여진 이 세 권의 책의 희귀한 초판본. 브루네, IV, 839 ; 그라세, 희귀 도서의 보물, 424 ; 페어팩스 머레이, 프랑스어, n°454 (두 번째 판본에 대한).
르네상스 시기의 오스만 사회에 대한 가장 잘 문서화된 도서 중 하나이다 (M. Bertaud, 거대한 두려움, II, p. 295).
« Guillaume Postel (1505-1581) est l’un des hommes les plus savants de son époque et un visionnaire célèbre. Son ardeur pour l’étude était fort grande ; mais la misère le contraignit à quitter son pays pour aller chercher des moyens d’existence […] Il fut heureux d’accompagner à Constantinople La Forest, envoyé en Turquie pour négocier quelques affaires… Postel publia bientôt après un alphabet en douze langues et quelques autres ouvrages. François Ier l’avait nommé en 1539 professeur de mathématiques et de langues orientales au Collège royal ; mais enveloppé dans la disgrâce du chancelier Poyet, il quitta la France. Postel se trouvait à Rome vers 1554, lorsqu’il y connut Ignace de Loyola et il voulut alors entrer dans la Compagnie de Jésus. Après deux ans de noviciat il fut chassé de l’ordre par Ignace de Loyola. Les écrits dans lesquels Postel exposait ses idées mystiques le firent mettre en prison ; il s’échappa, et alla à Venise, où d’autres dangers l’attendaient. Dénoncé à l’Inquisition, il se constitua lui-même prisonnier et fut mis en liberté par le tribunal. Les nombreux écrivains qui se sont occupés de Postel sont loin d’être d’accord sur les événements de sa vie à partir de cette époque. Le seizième siècle prisa très haut le vaste savoir de Guillaume Postel, considéré par François Ier et la reine de Navarre comme un prodige d’érudition. Son entretien était recherché des plus grands seigneurs, tels que les cardinaux de Tournon, de Lorraine et d’Armagnac. On assure que quand il enseignait à Paris dans le collège des Lombards, il attirait une si grande foule d’auditeurs, que comme la grande salle du collège ne pouvait les contenir, il les faisait descendre dans la cour et leur parlait de la fenêtre. Quelque opinion que l’on se forme des sentiments exprimés par Postel dans ses nombreux ouvrages, il est juste de remarquer que tous les historiens rendent hommage à la pureté de ses mœurs, à la sagesse de sa conduite et à l’aménité de son caractère. » (Biographie générale, XL, 879-885).
« 기욤 포스텔이라는 이름은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여행가였다; 프랑수아 1세에 의해 왕립 독자로 지정되고 동양어를 가르쳤던 학자였으며; 이상주의자였고, 프랑스 왕의 권한 아래 모든 사람을 기독교 율법으로 이끌고자 꿈꿨다 ».
1536년, 언어에 대한 포스텔의 특별한 재능은 그를 프랑수아 1세에 의해 술탄 솔리먼 2세와 협상하는 대사로서 터키로 동행하게 했다. 중동은 그에게 계시였다. 포스텔은 그곳에서 삶의 예술을 경험하고 아랍어를 배우고 무슬림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것은 단순한 관계가 아니라, 1538년부터 시작된 진정한 임무 보고서이다. « 이 책의 목적은 제1권의 헌정 서문에 명확히 표현되어 있으며, ‘그의 나라의 미래 황제’인 이 왕자가 ‘동양의 가장 큰 국가와 가장 큰 왕자의 이야기와 모습을 보며’ 그의 ‘종교적인 최대 적’의 재산을 소유할 자격을 갖추게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목적이다. 그는 이 ‘튀르크 세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다면 그 적을 ‘약화시키는’ 것에 더 능숙해질 것이다. 포스텔은 튀르크 제국의 힘과 솔리만의 장대함을 증언자로서 보고 쓴 것임을 강조한다. 이는 동양에서 탈출한 기독교인의 연대기가 아니다; 이는 다소 소설화된 여행담도 아니다. 이는 임무의 보고서이다. 이 스캔들은 지난 20년간 이 동양 제국에 대한 전혀 다른 발언을 읽은 프랑스의 여론에서 논란의 중심이 된다. » (C. 포스텔, 기욤 포스텔의 저작물, p. 94).
1560년에 엔길버트 드 마르네프가 인쇄한 유일한 세 책이다. 이는 표제 페이지에 거울을 든 사람의 마크를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은 장자크 루소의 언어의 기원에 대한 에세이 중 하나의 참고 문헌을 형성할 것이다.
“포스텔의 오스만 제국에 대한 작업은 그에게 동방에서의 경험 및 이슬람에 대한 이해의 완성을 나타낸다” (아타베이, 977).
본문 말미에 부착되어 있는 후속작으로 중동의 의상을 묘사한 56장의 아름다운 에칭 판화가 있으며, 번호가 매겨진 1번부터 56번까지 포함되어 있다 (17번은 없음). 이는 1576년에 출간된 니콜레의 『동양 여행과 순례의 책』의 것과 유사하다.
이 소중하고 희귀한 책의 아주 멋진 사본이며, 18세기 우아한 장정으로 보존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