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에서 인쇄된 사본을 따름, 1648. 파리, 레이덴, 장 삼빅스, 1654-1653-1654-1654-1649-1653-1653-1657-1657-1658-1658.
사용된 6개의 책에 12 부분이 제본되어 있음: 304쪽, 서문 포함, 312쪽, 352쪽 (쪽 43에서 75와 159에서 171까지 가장자리에 벌레 갤러리 있음), 368쪽, 336쪽, 352쪽, 380쪽, (2) ff. 공백, 360쪽, 336쪽, 315쪽, 352쪽 (잘못된 쪽 362), 376쪽. 크림색의 딱딱한 벨룸으로 덮여 있고, 잉크로 적힌 톰의 이름이 있는 매끈한 등. 시대 제본.
L’une des deux éditions de référence, rarissime complète, décrites par les bibliographes, « la plus jolie des deux » mentionne Brunet, de Cléopâtre, le chef-d’œuvre de La Calprenède, (1610‑1663), « l’un des grands romanciers de langue française du XVIIe siècle ». (E. Seillière)
Deux premières éditions virent le jour à cette époque, l’une, l’originale, fut imprimée à Paris en 12 volumes petit in-8 entre 1646 et 1657.
Tchemerzine écrit (III, p. 828) : « Nous n’avons pu trouver un exemplaire homogène de ce roman fameux à son époque. La Bibliothèque Nationale possède un exemplaire de la 1ère partie [1646], (sur 12), auquel manque le titre. »
L’autre, imprimée pareillement en 12 volumes in-8 par Bonaventure et Abraham Elsevier –1648-1658 – tout aussi rare est, selon Brunet, « plus jolie » mais les rarissimes exemplaires complets sont tout aussi composites.
Pour ces deux premières éditions le nombre de feuillets de texte et de titre varie selon les exemplaires (voyez à ce sujet la description des exemplaires de La Sorbonne et de la bibliothèque de Versailles donnée par Tchemerzine). Chacune des douze parties de notre exemplaire reliée à l’époque est bien complète du texte et des douze feuillets de titre. Les exemplaires ainsi complets sont de la plus insigne rareté.
Gautier de Costes, sieur de La Calprenède épousa en 1646 une précieuse assez connue de l’époque, Madeleine de Lyée, sur laquelle Tallemant de Réaux conte d’horrifiantes histoires et qui le rendit fort malheureux jusqu’à leur séparation. Il mourut en 1663 selon la Gazette rimée de Loret.
Sa vocation véritable ne lui fut révélée que vers 1642, année qui vit publier la première partie de sa Cassandre. Ce roman plut au Grand Condé qui accepta la dédicace du second, Cléopâtre (1647). J’ai su, écrivait l’auteur au prince, que mon « précédent ouvrage doit sa plus grande réputation au bonheur qu’il a eu de vous divertir, qu’on vous a vu plusieurs fois donner des heures, dans la tranchée, aux volumes de « Cassandre » et que vous avez voué à sa lecture une partie des nuits qui ont succédé aux grandes journées que vous avez rendues fameuses par vos victoires. » – Le troisième roman de La Calprenède, Faramond (1661) a subi l’influence des succès de Madeleine de Scudéry.
La Fontaine rangeait les romans de La Calprenède parmi les plus beaux de son temps.
Madame de Sévigné jugeait ainsi les romans de La Calprenède : « Je ne laisse pas de m’y prendre comme à la glu. La beauté des sentiments, la violence des passions, la grandeur des événements et le succès miraculeux de leurs redoutables épées, tout cela m’entraîne comme une petite fille. » Et elle ajoute que, près d’elle, La Rochefoucauld pense de même.
Les recherches sur le roman que la critique moderne a entreprises ont permis de redécouvrir La Calprenède comme un des grands romanciers du XVIIe 세기, 진정한 역사소설을 창작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닌 동시에 관대함과 감수성을 통해 주인공을 구상하는 작가로서. 독창적이고 풍부하다고 평가되는 극작가 역시 현대 주제를 통해 연극을 혁신하려는 그의 노력과 비극에서 뿜어져 나오는 감정의 강렬함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E. Seillière. Rev. J. S.)
라 칼프레네드, 소설가 ; 마자랭, 루이 14세의 첫 번째 총리: 이 두 경력은 거의 같은 기간에 걸쳐 있습니다. 라 칼프레네드의 세 소설 중 첫 번째인 카산드르는 리슐리외가 세상을 떠나기 4개월 전인 1642년에 출간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마자랭의 부상이 시작되는 시점입니다. 마지막 작품인 파라몽은 1661년 마자랭이 사망한 지 일주일 후에 출간되기 시작했으며, 30개월 후 라 칼프레네드 자신도 사망해 계획했던 열두 개의 파트 중 일곱 개만 완성되었습니다. 이 두 경력은 프랑스 정치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에 해당하며, 이 시기는 소위 바로크 국가에서 고전 국가로의 전환을 보았으며, 프롱드의 난은 결정적인 단절의 시기를 프랑스 국민에게 각인시켰습니다.
라 칼프레네드는 세 소설 카산드르, 클레오파트르, 파라몽에서 기사도의 소설에서 차용한 형식에 충실합니다.
“1630년 이후로, 리슐리외의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프랑스의 옛 자유, 즉 귀족, 의회, 국민의 자유를 주장했습니다. 추기경에 의해 옹호되고 실행된 국가 이성은 사회의 자연 질서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공격처럼 보였습니다. 반면 리슐리외를 옹호하는 사람들 – 시르몽드, 하이 뒤 샤틀레, 게즈 드 발자크 등 – 에게는 귀족 윤리와 의회의 주장들이 공익에 자주 해를 끼치는 집단적 이익을 감추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자랭이 총리로 임명되고 나서 점진적으로, 특히 프롱드의 난 동안과 이후, 이념 투쟁의 여파는 모든 프랑스 국민에게 느껴졌으며, 그들의 정치 개념을 깊이 변화시켰습니다. 라 칼프레네드는 이러한 대중의 태도 변화를 그의 소설에 반영하며, 개인과 권력 사이의 관계 분석을 그가 예상한 변화에 맞춰 정교하게 다듬었습니다.
프롱드의 난 실패 이후 군주와 피사체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직면한 상황에서, 클레오파트르에서는 도덕적 가치가 정치적 질서와 화해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했습니다.”
클레오파트르의 한 인물은 “아르타반처럼 자존감 강하다“라는 속담의 대상으로 프랑스 문학에 이 작품의 흔적을 영구히 남겼습니다.
시대의 우아한 벨럼 커버로 보존된 완전한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