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 (Augustae Vindelicorum) = 아우크스부르크, sd, 약 1730.
시대의 컬러가 있는 84판, 2권으로 묶인 인폴리오: I/ 40장의 두꺼운 종이에 잘라 붙인 판; II/ 44장의 사용 흔적, 모서리의 몇 가지 작은 얼룩과 접힘, 설명의 손상이 있는 한 판 모서리의 복원. 어른의 하바나색 반양피, 붉은 가장자리. 후기 제본.
385 x 290 mm.
판화의 크기: 높이 310에서 375 mm, 너비 207에서 245 mm.
Edition originale et premier tirage de cet extraordinaire ensemble baroque de style Rocaille riche de 84 estampes en superbes coloris d’époque représentant des hommes et des femmes habillés avec les ustensiles de leur profession. Ces travestis étaient destinés à des ballets. Les gravures sont signées de A. Degmeier, P. F. Engelbrecht, C. F. Hörmann, Kösler, J. F. Schmit, J. Stelzer.
Martin Engelbrecht graveur, né à Augsbourg en 1684, mort dans la même ville en 1756 est le frère de Christian Engelbrecht. Il illustra comme lui de nombreuses œuvres. On cite parmi celles-ci : La guerre de succession espagnole, et Les Architectes princiers, de P. Decker. Il exécuta également 92 vues de Venise et 192 gravures rocaille illustrant des hommes et des femmes habillés avec les outils de leur profession. Cette suite célèbre créée il y a près de trois siècles, déjà fort rare à l’origine en coloris de l’époque, se raréfia considérablement au cours des siècles suivants devant l’engouement pour cette œuvre d’exception qui rappelait les métiers de Larmessin réalisés peu auparavant. Depuis le XIXe siècle, les amateurs ont dû s’habituer à collectionner ces estampes à l’unité et à les faire encadrer. Même réduites à l’unité, elles tendent à disparaître des marchés. Présenter un tel ensemble de 84 estampes en coloris d’époque et en ce début XXIe 세기에는 바로크 스타일은 고전적인 규칙에 반하는 예술 양식으로, 기이하거나 나쁜 취향으로 여겨졌습니다. 예술과 문학에서 고전주의의 영향이 끝날 때까지 ‘바로크’는 부정적인 의미를 잃고 예술, 건축, 조각, 회화뿐만 아니라 음악과 문학 등 모든 분야에서 긍정적이고 독창적인 기여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시각 예술에서 바로크는 매우 구조적이며 대칭을 풍부하게 활용하고 동시에 매우 역동적인 스타일을 제안합니다. 이는 강력한 소용돌이와 나선형 움직임 속에 형태를 삽입하여 극적인 효과와 특별함을 추구하며 감정을 불러일으키고자 합니다. 이를 정의하는 특징들은 그 탄생을 목격한 정치적, 문화적, 종교적 맥락 속에서, 그 정당화를 찾거나 적어도 수많은 설명 요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크 예술은 가톨릭 국가에서 가장 잘 발전했으며, 특히 1630년 무렵 반종교개혁의 말년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프로테스탄트의 확산에 반대하기 위해, 성 로마 교회는 트렌트 공의회 후(1563년에 끝남) 전통 교리를 재확인하고 강렬한 선교 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로코코와 로카이유 스타일은 바로크의 늦은 기간의 두 가지 다른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두 스타일은 서로 다른 시기에 나타났습니다. 로카이유는 프랑스와 특히 18세기 상반기 장식 예술에 유행했으며, 정점은 1720-1740년 사이에 있었고, 로코코는 1720-1780년 프랑스와 독일에서 주로 이어서 발전했습니다. 이는 명백히 이탈리아 바로크부터 파생된 스타일의 건축과 장식을 의미하며, 프랑스와 특히 로카이유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림의 작업실 색상을 그대로 보존한 귀중하고 주목할 만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