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루이 세베스트르, 1700.
In-12 de (11) ff., 69 pp., (3) pp. 시대의 갈색 얼룩 송아지 가죽으로 장정, 꽃 장식과 금박 엠블럼으로 장식된 등표지, 장식된 가장자리, 얼룩 무늬 페이지. 모서리가 약간 닳은 상태. 브라운 모로코 케이스. 시대의 장정.
157 x 90 mm.
/* Style Definitions */ table.MsoNormalTable {mso-style-name:”Tableau Normal”; mso-tstyle-rowband-size:0; mso-tstyle-colband-size:0; mso-style-noshow:yes; mso-style-priority:99; mso-style-parent:””; mso-padding-alt:0cm 5.4pt 0cm 5.4pt; mso-para-margin-top:0cm; mso-para-margin-right:0cm; mso-para-margin-bottom:10.0pt; mso-para-margin-left:0cm; line-height:115%; mso-pagination:widow-orphan; font-size:11.0pt; font-family:”Calibri”,”sans-serif”; mso-ascii-font-family:Calibri; mso-ascii-theme-font:minor-latin; mso-hansi-font-family:Calibri; mso-hansi-theme-font:minor-latin; mso-bidi-font-family:”Times New Roman”; mso-bidi-theme-font:minor-bidi; mso-fareast-language:EN-US;} Édition originale de la plus grande rareté de cet ouvrage consacré à la photométrie.
Martin, 고 M. Burette의 도서관 목록, 5546; Monge, 물리 사전, IV, p. 293.
C’est au XVIIe 에 유럽의 과학자들이 빛 연구에 있어 큰 발전을 이루던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등장한 광도계는 측정 장비가 없었고, 광원의 비교를 통해 그 기초를 확립했습니다.
그리고 “기압계, 온도계 및 습도계의 발명에 감동받아 F. Marie는 이들처럼 빛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J-E. Morère, p. 339, 광도계: Pierre Bouguer의 1729년 빛의 계조에 대한 광학 에세이 사료.)
이렇게 하여 그는 ‘루시미터’를 만들었습니다.
“1700년에 카푸친 수도사 Jean François-Marie는 그가 루시미터 또는 광도계라고 부르는 여러 장치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훨씬 나중에 쓸모 있는 장치로 구체화될 것입니다.” Daumas, 과학 기구, 82.
« Le premier qui ait eu l’idée de mesurer la lumière est un Capucin, le P. François Marie, qui publia en 1700 un petit écrit intitulé : “Nouvelle découverte sur la lumière […]”. Ce bon religieux qui ne parle, au surplus, qu’avec une extrême modestie de ses idées, propose dans cet ouvrage, qu’il appelle ‘Lucimètre’, deux moyens de mesurer la lumière, l’une par l’interposition d’un nombre de verres plans et transparens, propre à intercepter enfin toute la lumière ; l’autre, par le moyen qu’une quantité d’eau propre à produire le même effet ; ou même moyen de réflexions répétées sur des surfaces polies, en assez grand nombre pour affaiblir la lumière par des gradations connues. »
J. E. Montucla, 수학의 역사, III, p. 538.
당시의 우아한 장정으로 보존된 아름답고 소중한 사본.
출처 : 맥클즈필드 사우스 도서관 184.B.14, 첫 세장의 양피지가 맥클즈필드 백작의 문장으로 은밀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1940년 이래로 이 희귀한 초판이 국제 공개 시장에서는 다른 사본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