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is, Toussainct du Bray, P. Roccolet, Cl. Sonnius, 1631.
In-4 de 27 pp., (1) p. d27extrait du Privil0e8ge, 400 pp., 56 pp. et (8) ff.
Plein veau blond, triple filet doré encadrant les plats, dos à nerfs richement orné, pièces de titre et de tomaison de maroquin rouge et vert, double filet or sur les coupes, tranches dorées. Reliure du XIXe siècle signée Niédrée.
237 x 178 mm.
st1:*{behavior:url(#ieooui) }
/* Style Definitions */ table.MsoNormalTable {mso-style-name:”Tableau Normal”; mso-tstyle-rowband-size:0; mso-tstyle-colband-size:0; mso-style-noshow:yes; mso-style-priority:99; mso-style-parent:””; mso-padding-alt:0cm 5.4pt 0cm 5.4pt; mso-para-margin:0cm; mso-para-margin-bottom:.0001pt; mso-pagination:widow-orphan; font-size:10.0pt; 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 오리지널 에디션 « 언어를 고정하고 프랑스 산문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념비 중 하나를 이룬 작품 ».
« 루이 13세의 초상화가 장식된 아름다운 타이틀 프론트피스를 갖춘 오리지널 에디션 ». Tchemerzine, I, 355.
장루이지즈 드 발자크(1597-1654)는 이제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 메나쥬가 경배했던 프랑스어 회복자로 계속 인정받지만, 그의 도덕과 정치적 개념 « 그의 오래된 여주인 »을 좀 더 관심 있게 살펴보고 있다.
« 발자크는 발레트 추기경을 따라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후 이미 편지를 통해 유명해졌습니다. 그는 트라이엄퍼처럼 환영받았고 우아하고 문학적인 모든 사람들에 의해 추구되었습니다. 특히 리슐리외는 그처럼 귀중한 정신을 자기편으로 만들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했습니다. 아마도 그는 다시는 잘 가지 않았던 궁정에서 이 책을 쓸 계획을 세웠을 것이며, 어쩌면 그 계획이 직간접적으로 명령받은 것일 수 있습니다.
한 신사가 루이 13세의 이름으로 앞에서 퍼부어지는 모욕에 의해 유발된 그의 친구, 바르바리 해적의 포로가 된 친구의 분노를 인용하는 것을 들은 후, 발자크는 이 왕의 화려한 왕권 아래서 사는 프랑스의 행복을 서술하기 위해 그의 펜을 바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 왕자 »가 어느 정도 일반성을 주장하고 그곳에 왕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고대의 영웅인 루이 13세의 이상화된 그림이다. 이 작품은 조화와 엄격함으로 가득 차 있으며, « Lettres » 만큼이나 언어를 고정하고 프랑스 산문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념비 중 하나를 형성했다. 발자크의 정치적 아이디어는 또한 무관하지 않으며, 그것은 그의 시대 정신을 완벽하게 표현한다 ». (Dictionnaire des Œuvres, V, 511).
« C’est d’Italie qu’il commença d’écrire ses ‘Lettres’ qui devaient un jour lui assurer la gloire. D’emblée, ou peu s’en faut, il s’acquit l’admiration de la haute société française. C’est dire que lorsqu’il revint à Paris, l’année suivante (1622), il se vit déjà célèbre. L’un après l’autre, tous les grands personnages se mirent à le rechercher ; Richelieu lui-même fit tout ce qu’il put pour s’en faire bien voir, tant il tenait à s’attacher un esprit aussi remarquable […] Sitôt qu’il vit le jour, le recueil obtint un succès prodigieux : non seulement en France, mais dans toute l’Europe […] En somme, Guez de Balzac a rendu à la prose le même service que Malherbe à la poésie. Il a préparé l’éclosion de la prose classique. » (Dictionnaire des Auteurs, I, 208).
왕자 (1631년)는 목가적 서곡이 없어진 대신 1634년 빛나는 논쟁에 의해, 리슐리외의 제도적인 위력에 따라 야기된 « 도덕적 혁명 »을 묘사한다고 주장한다. 이번에는 발자크가 군주적 부성주의를 변호하면서 « 사려깊음이 정의를 덜어주는 » 선의의 공공 이익을 중시하는 국가 이유를 제시한다. « 모든 웅변의 미덕 »으로 충만한 이 작품에서, 발자크는 « 숭고한 장르의 완벽함 »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며 « Lettres Sainctes »와 키케로와 세네카의 전통에 의지한다.
발자크는 그의 모순을 통해 새로운 « 인문주의 »를 구축했다, 영웅적이면서 현대적이며, 예절이라는 이름 아래 심장, 맛, 이성을 포용한다. 라틴 어의 주요 작가이자 시인으로서, 그는 프랑스 문학의 논리적 승리를 통해 아카데미의 주요 야망을 충족시켰다. 숨겨진 신에 체념하며, 그는 합리적 창조를 믿고 사회와 예술을 자연에 기반하여 재고하려고 노력했다. « 관찰자 »로서 그는 문화가 군주들과 피통치자들을 « 더 인간적으로 » 만들 수 있는 정치학을 개발했다. 은둔의 찬양인이자 여전히 세속적인 그는 예절을 주장하며, 오만한 무지와 식자의 이중 배신에 반대한다. 결국 « 아티키스트 »로서 잡히지 않는 즉흥성과 Malherbe의 일을 옹호하며, Théophile의 « 합리적 격렬함 »과 공격적이면서도 유머 있는 것은 그의 설득의 예술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법원과 고급 사회에 우아함과 설득을 제안하고, 루이 13세의 진정한 고전주의를 형성한다.
소장품 Guy Pellion에서 ex-libris가 있는 귀중하고 아름다운 아름다운 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