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SE, Abraham Traité des Manières de dessiner les Ordres de l’Architecture Antique en toutes leurs parties. Avec plusieurs belles Particularitez qui n’ont point parû jusques a present touchant les Bastiments de Marque…

가격 : 12.000,00 

1;보세의 건축 책 3부작은 17세기 중반 건축 이론에 있어 중요한 단계입니다.7;
보세의 건축 3대 주요 이론서의 희귀한 재판, 그 자신이 인타글리오로 전적 그린 후 인쇄한 책입니다.

1개 재고

SKU: LCS-18326 카테고리: ,

Paris, Pierre Aubouin, Pierre Emery et Charles Clousier, s.d. [1688].

In-folio de 1 titre, 1 frontispice, 44 planches.

– [Suivi de] : Des Ordres de colones en l2019Architecturè0268230

[Paris, 1688].

1 frontispice, 1 planche sur double-page, (20) feuillets gravés.

– [Et de] : Représentations Géométrales De plusieurs parties de Bastiments faites par les Reigles de l2019Architecture antique Et de qui les mesures sont reduites en Piedz poulces & lignes, Afin de saccomoder a la manière de mesurer la plus en usage parmy le commun des Ouvriers.

Paris, 1688.

1 frontispice et 22 feuillets gravés.

Soit 3 ouvrages en 1 volume in-folio, vêu moucheté, encadrement de filets à la Duseuil sur les plats, dos à nerfs orné de fleurons dorés, roulette dorée sur les coupes, tranches mouchetées rouges, qq. usures aux mors sans gravité. Reliure du XVIIIe si8ècle.

420 x 263 mm.

더 읽기

Rare réédition des trois principaux ouvrages théoriques d’architecture d’Abraham Bosse, entièrement dessinés et gravés en taille-douce par lui-même, et imprimés d’un seul côté.

Brunet, I, 1127.

이 논문의 초판은 처음 두 권이 1664년에, 마지막 것이 1659년에 발간되었습니다.

첫 번째 작품은 45장의 삽화, 두 번째는 21장의 삽화, 마지막 논문은 23장의 삽화를 포함합니다.

« 건축 양식의 방법에 대한 논문은 아브라함 보세가 1664-65년에 발표한 건축 양식에 대한 이중 작품의 첫 번째 부분입니다. 보세는 원래 예상했던 대로 이 쌍에 그의 기하학적 표현을 통합했으며, 1659년 제목 페이지를 뺀 채로 출간했습니다. 이 작품은 ‘여러 장인들의 편의를 위해’ 저자의 고백에 따라 두 개의 별도 모음집으로 인위적으로 나뉘어졌습니다.

건축 양식의 방법에 대한 논문은 ‘이 책의 내부에 나타난 도형들의 질서와 방법’이라는 제목의 두 페이지로 구성된 서문과, 풀 페이지 삽화가 있는 40장의 섬세한 부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세는 주제를 다룬 최고의 저자들을 읽고 ‘가장 아름다운 비례’를 실무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그는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은 고대의 몇 가지 실습과 새로운 실습을 추가합니다 (헌정사). 이 모음집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는 지졸과 ‘작은’ 구성원(기단, 기초, 기둥머리 및 지졸 세부사항)에 대해 다루고, 두 번째는 장식물(계단의 기둥, 받침 및 계단난간)을 다룹니다. 세 번째 부분은 투영법 규칙에 따라 건축, 계획 및 모델로의 표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지막 부분은 기하학적 움직임이나 거리엄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입니다… 보세는 팔라디오, 비놀라, 스카모지와 같은 최고의 저자들을 인용하며, 자신의 개인적인 요약을 제공합니다; 그는 또한 동시대인 프레아르 드 샹브레이를 언급하는데, 분명히 비교…를 알고 있습니다. 수학자는 디테일하게 멋진 볼루트를 그리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합니다. 니코메데스의 코노이드에 따라 열의 곡선을 그릴 수 있는 데카르트 컴퍼스를 포함한 도구를 제안하며 프랑수아 블론델의 작업을 참조합니다.

보세는 그 이전 작가들이 그렇게 자세하게 다루지 않았던 문제들에 대해 다루는 것은 그가 혁신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계단과 보. 그는 그의 시대와 동조하고 있으며, 특히 파리에서는 스테레오토미의 역량 덕분에 인상적인 부양된 계단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그는 룩셈부르크, 칼디날 궁전 등 파리의 다른 큰 저택에서 그렇게 유명한 계단의 오류를 비판하면서, 주요 난간이 회전하는 부분에 맞지 않는다고 언급합니다…

보세는 프레아르 드 샹브레이처럼 고대 문화를 모방하는 것이 잘 측정되고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고대의 구현이 모방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보세는 확실한 건축 학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비트루비우스의 논문(판 XI)과 르네상스 이론가들(Lemerle 2011, p. 419)을 읽었습니다. 보세는 페로처럼 현대적이고 확고한 건축 질서를 강요하려고 하지 않지만 덜 야심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의 세 작품으로 구성된 건축 논문은 오랜 사색의 산물입니다. 모형에서 실현 및 장식에 이르기까지, 그는 건축을 전체적으로 접근합니다. 이 작품은 특히 투영법 과학을 포함하여 모든 이론적이고 기술적인 발전을 통합한 작품입니다. 그의 부조각으로 꾸며진 매력적인 프레젠테이션에서, 그는 본질적 이미지를 우선시하는 비놀라의 레골라의 전통에서 위치합니다. 보세의 건축 책을 읽고 싶은 실무자들에게 장황한 설명을 피하는 데 교훈적입니다. 교육자는 필수 요소를 즉시 독자에게 제공하며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자신의 설명을 구성합니다, 삽화는 그 자체로 충분합니다.

Le livre d’architecture de Bosse en trois volets dont le Traité des manières de dessiner les ordres constitue la plus importante partie est une étape importante, quoique méconnue, pour la théorie architecturale au milieu du XVIIe siècle. Contemporain de Fréart de Chambray dont il partage les convictions et sur l’œuvre duquel il s’appuie, l’auteur anticipe les publications des frères ennemis François Blondel, avec lequel il fut en relation, et le puissant Claude Perrault. Au terme de sa carrière Bosse a atteint son but : il est parvenu à élever l’art de la gravure au nivêu de la peinture, mais par le biais de la perspective il s’est initié à l’architecture représentée comme la « Reine des Arts » dans le frontispice de son recueil sur les ordres de colonnes. La fortune éditoriale de l’ouvrage atteste sa réussite. Il connut encore deux autres tirages posthumes, en 1684, 1688 puis un dernier au début du XVIIIe siècle ». (Frédérique Lemerle (Cnrs, Cesr, Tours) – 2014).

Précieux exemplaire très grand de marges conservé dans sa reliure du XVIIIe 세기.

정보 줄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