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cy, J.B. Hiacinthe Leclerc et Paris, Merlin, 1768.
In-8 de (1) f.bl., (4) ff., 432 pp., (1) f.bl. 텍스트에 수기로 된 수정. 당시의 빨간 모로코 가죽으로 제본, 모서리에 플레론이 있는 세 줄의 금박선으로 둘러싸인 판, 중앙에 금박으로 새긴 문장, 플레론으로 장식된 등 부분, 하바나 모로코 가죽 제목판, 컷 위에 금박선, 내부에 금박 롤렛, 금박 테두리. 당시의 제본.
197 x 123 mm.
‘Recueil des arrêtés de Monsieur le premier président de Lamoignon’의 매우 희귀한 두 번째 판, 수정 및 보완됨. Quérard, La France littéraire, IV, p. 500 (1702 및 1783년 판을 인용하지만 이 판본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것 같음).
오류가 있는 첫 번째 판은 1702년에 출판되었으며, « M. de Fourcroy의 손으로 쓴 원본에서 발행된 이 1702년 첫 번째 판본에는 인쇄상의 오류가 많아 본질과 내용 및 결정을 훼손합니다 » (Avis).
기욤 드 라무아뇽(1617-1677)은 파리 의회의 첫 번째 회장이자 구 프랑스 사법부의 가장 유명한 구성원 중 하나였습니다. 그는 이 모음집에서 프랑스 법 제도의 개혁을 위한 방대한 계획을 구상했습니다.
« 이 위대한 법관의 계획은 프랑스 법학의 규칙을 다양한 제목 아래 모아 가장 현명한 결정을 채택하여 그 결정을 통일하고, 왕국에서 일반법으로 삼기 위해 조항을 작성하는 것이 었습니다 » (Avis).
« Le but de M. le Premier Président de Lamoignon fut surtout d’établir dans cet ouvrage l’uniformité des maximes qui doivent conduire à la décision des questions controversées, & de prévenir, par ce moyen, les contradictions que présentent souvent les Arrêts de deux Parlements différents […] Il avait toujours applaudi à la sage politique d’un de nos Rois, qui aurait voulu qu’il n’y eût, en France, qu’une coutume, qu’un poids, qu’une mesure, & que toutes les Loix fussent mises en Français. M. le Président de Lamoignon a toujours voulu qu’on puisse réaliser cette idée si simple et si noble. Persuadé que cette conformité serait aussi utile au Public qu’aux Juges, il conçut le projet de cet important ouvrage ; il fit assembler chez lui douze avocats, pour avoir leurs sentiments sur les articles convenus. Ces articles et les avis des Avocats furent ensuite examinés dans des Assemblées, où se trouvaient deux Députés de chaque Chambre du Parlement. On ne s’en tint pas là ; on chercha de nouveaux moyens pour exécuter et perfectionner ce plan. MM. Auzanet et Fourcroy, ces Jurisconsultes si célèbres, furent chargés de fournir des Mémoires, & de mettre les matières en ordre. Ce travail fut soumis à l’examen & à la décision de M. le Premier Président de Lamoignon, qui concluait et arrêtait lui-même les articles. C’est à cette rédaction, ainsi dirigée par ce savant Magistrat, que le Public est redevable de l’Ouvrage dont nous annonçons une nouvelle édition […] Nous en avons assez dit pour fixer les idées qu’on doit se former d’un Ouvrage qui parait avec une célébrité acquise, célébrité confirmée par les jugements de ce qu’il y a de plus recommandable dans la Magistrature & dans le Barreau. » (Gazette des tribunaux, III, 1777, pp. 74-76)
당시의 르네-니콜라-샤를 드 모뿌(1714-1792) 수상장을 위한 빨간 모로코 가죽으로 제본된 귀중한 사본. « 파리 의회의 첫 번째 회장이자 프랑스의 도장이었던 르네-샤를의 아들로, 1733년 8월 파리 의회의 의원이 되었고, 국무회의의 왕의 고문이 되었으며, 1737년 4월 1일 그의 후임자인 아버지로서 재직 중, 1743년 11월 12일 직책에 서 있었고, 1763년 10월 12일 의회의 첫 번째 회장이 되었습니다. 그는 1768년 9월 16일 아버지의 사임으로 프랑스의 수상장과 도장이 되었으며, 1770년대에 의회에 대해 치열한 전쟁을 벌였습니다. 그는 1771년 왕권을 통제하려는 파리 의회를 추방하고, 다른 의회, 법원 및 여론의 항의에도 강력한 6개의 고등 회의와 함께 새 의회를 설치했습니다. 동시에 사법대의 권한을 개혁하여 완성되었으며, 등록제의 판매를 폐지하여 여러 달간의 싸움을 꺼냈으며, 결국 무너졌습니다. 루이 15세의 죽음이 그의 작품과 재산을 망쳤습니다. 루이 16세는 1774년 4월 24일에 그의 증서를 회수하고, 구 의회를 복원했습니다. 모뿌는 프랑스의 마지막 수상이었습니다. » (Olivier, Pl. 2243). 수상장 르네-니콜라-샤를 드 모뿌(1714-1792)의 어머니가 이 권을 그녀의 문장으로 제본했으며, 실제로 기욤 드 라무아뇽, 이 모음집의 저자의 고손녀였습니다.
출처: 르네 니콜라 샤를 드 모뿌와 닥터 L. 리바도 드마스의 도서 표와 함께.
사본 4부만 위치: 메츠, 캉, 낭시 및 B.n.F.의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