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테뉴, 미셸 드. Essais.

판매 완료

Montaigne의 수필 25부 중 하나, 1783년 대형 홀란드지에 인쇄.
이 25부 중 유일하게 녹색 모로코 가죽으로 당시 제본되어 기록된 서적 폭이 넓은 덴텔 무늬.
SKU: LCS-18510 카테고리:

파리, 장-프랑수아 바스티앙, 1783.

3권, 사륙판, 녹색 모로코 가죽 장정, 넓은 금박 레이스로 장식된 표지, 금박 정제로 장식된 등판, 빨강 모로코의 제목 및 권차 표시, 장식된 테두리, 내부 회전 장식, 금박 가장자리. 당시 녹색 레이스 가죽 장정.

제1권: 가제목; 제목; 몽테뉴의 초상화, xxiv 쪽 및 492 쪽.

제2권: iv 쪽, 732 쪽.

제3권: 가제목, 제목, 605 쪽.

262 x 205 mm.

더 읽기

몽테뉴의 수상록 25부 중 하나로, 1783년에 홀랜드의 대형 종이에 인쇄되었습니다.

« 매우 아름다운 종이에 인쇄되었으며, 같은 편집자의 다른 여러 판본보다 더욱 주의 깊게 교정되었습니다. 좋은 목차가 포함되어 있으며, 고전적인 철자를 따랐습니다… » (Brunet, III, 1839).

« Très bonne édition sans notes ni manchettes, sans les traductions des citations mais en en précisant les auteurs. L’édition de Bastien fit date dans la transmission des Essais. Il opéra en effet un retour aux sources, au-dessus de Coste, pour retrouver le texte de Montaigne : « J’ai, autant qu’il a été en moi, rendu cet auteur à lui-même ». (Cf. P. Bonnet « un singulier éditeur de Montaigne au XVIIIe siècle », BSAM, 5è 시리즈, n° 13.)

« Le charmant projet que Montaigne a eu de se peindre naïvement comme il l’a fait ; car il a peint la nature humaine […] Un gentilhomme campagnard du temps de Henri III, qui est savant dans un temps d’ignorance, philosophe parmi les fanatiques, et qui peint sous son nom mes faiblesses et mes folies, est un homme qui sera toujours aimé. » Voltaire, 1734.

Un bréviaire d’humanisme. Montaigne n’avait pas tort de dire de ce livre « consubstantiel à son auteur » que « qui touche l’un touche l’autre ». Comme il apportait non un système, mais une série de réflexions qui devaient leur unité à leur lien étroit avec son « moi », admirateurs et détracteurs ont exalté ou attaqué, dans les Essais, non une doctrine, mais une tournure d’esprit et une qualité d’âme. Les esprits critiques, plus soucieux de comprendre que de construire, épris avant tout de sincérité et de liberté, tels Voltaire ou Sainte-Beuve, ont aimé Montaigne et salué en lui leur maître. Les esprits rigoureux et systématiques, les êtres avides d’absolu, ceux qui ne croient pas pouvoir s’épanouir sans se donner et se dépasser, tels Pascal, Malebranche (ou Rousseau), irrités par son allure vagabonde, son penchant à l’égoïsme ou par la sérénité avec laquelle il accepte le relatif, ont haï et vilipendé Montaigne comme un représentant séduisant de leurs plus dangereuses tentations. Mais ses ennemis ont subi son influence et ses admirateurs l’ont trahi. Immense est envers lui la dette des classiques, qui se sont pourtant indignés de son désordre dans la composition et de son indiscrétion à étaler son « haïssable moi » jusqu’en ses particularités les plus vulgaires (telles que l’abondance de ses poils, son goût pour les melons, ou son incapacité à marcher sans se crotter !) Assez étrange, en revanche, fut l’enthousiasme du XVIIIe 세기 동안 그는 보수적이고 폭력과 열정의 적, 신중하고 절제된 남자로서 지나친 개혁주의자, 확신 있는 무신론자 그리고 심지어는 혁명가들의 후원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역설은 작품의 생명력과 풍부함을 증명하며, 그 중요성을 과장하기 어렵습니다. 수상록은 고대의 모든 성과와 함께 우리에게 접근 가능한 형식으로, 심지어 매력적인 형태로 전달하는 동시에 최초이자 가장 결정적인 현대작품입니다. 이들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파스칼의 명확하고 힘찬 분석, 데카르트식 재평가, 몰리에르의 지혜와 그의 ‘자연스러움’ 감각, 라 퐁텐의 재치, 볼테르적 비평의 아이러니, 루소의 본능과 자연에 대한 존경, 지디의 진정성 숭배와 프루스트적 분석의 미묘한 굴곡을 가질 수 있었을까요?

우리의 가장 위대한 걸작에 대해 몽테뉴를 언급하곤 하는데, 그는 처음으로 파스칼, 베르그송과 같은 그 이후 인물들과 함께 수많은 심리학자와 도덕론자를 양성한 프랑스 천재의 근본적인 경향을 나타냅니다. 그의 무질서한 자세와 논리 경멸에도 불구하고, 이 가스코뉴 귀족은 그의 비판적인 정신, 대규모 형이상학적 구성에 대한 불신과 상식으로, 그리고 그의 삶에 대한 사랑, 감각적 쾌락과 대화의 쾌락을 통한 사회성과 귀여운 태도, 솔직함과 용기, 충성심으로 진정한 프랑스인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동시대 사람들이 경멸할 때 영국인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괴테에게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이는 자의식과 모든 특수주의의 반대자로서 그 유명한 테렌스의 구절을 자신만의 것으로 만든 « 나는 인간이고, 인간적인 것은 나에게 낯선 것이 아니다 »라는 것에서 그의 진정한 의미의 인문주의자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아마도 그가 본성을 자기자신 이상으로 끌어올리려 억지로 시도하지 않았으며, 삶의 쾌락과 달콤함에 좋은 자리를 주면서도 인간 생활의 존엄성을 이루는 즐거움과 노력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조화의 비밀을 찾아냈기 때문일 것입니다.

당시의 넓고 멋진 레이시 데코르가 장식된 녹색 모로코 가죽에 제본된 귀중하고 멋진 사본으로, 포시니-루징
공주의
, 그 후에는 로스차일드에 소장되었습니다.

1783년에 인쇄된 25부 중 이 사본은 당시의 아름답고 넓은 레이시 데코르가 장식된 녹색 모로코 가죽에 제본된 유일한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정보 줄여보기

추가 정보

Auteur

몽테뉴, 미셸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