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네유, 피에르 Le Théâtre de P. Corneille. Revue & corrigé par l’Autheur. I. [II. et III.] partie.

가격 : 13.000,00 

조각가 베버의 서재에서 온 쿠진의 붉은 모로코 가죽으로 제본된 멋진 대형 도서입니다.
1660년 파리에서 인쇄된 피에르 코르네유의 연극 대형 부분 초판본 중 가장 희귀한 판본으로, 그의 눈에는 가장 중요한 판본 중 하나 였으며, 덴네리 컬렉션에는 없었습니다.

1개 재고

SKU: LCS-18332 카테고리:

인쇄: 루앙, 판매: 파리, 오귀스탱 쿠르베와 기욤 드 뤼네 사, 1660.

왕의 특권을 가짐.

3권, 인-8 형식.

이 판본에 다음 두 권이 포함됨: 같은 형식과 글꼴로 인쇄됨 – Poëmes dramatiques de T. Corneille. I. [II.] partie.

인쇄: 루앙, 판매: 파리, 오귀스탱 쿠르베와 기욤 드 뤼네 사, 1661.

왕의 특권을 가짐.

2권, 인-8 형식.

총 5권: 소형 인-8 형식; I/ xc 쪽, (6) 쪽 중 1 쪽은 전면 판화, 704 쪽; II/ cxvii 쪽, (10) 쪽, 720; III/ lxxxiiii 쪽, (5) 쪽, 1~178 쪽, (2) 면이 177-178 페이지를 포함, 179~632 쪽; I/ (2) 면, 710 쪽, (2) 쪽; II/ (4) 쪽, 652, (4) 쪽, 마지막은 비어 있음. 붉은 모로코가죽, 금박 삼중 선이 덮개의 외곽에 둘러져 있음, 금박 꽃 장식이 있는 새가죽 척추, 컷의 이중 금박 선, 내부에 금박 대형 롤렛, 대리석 무늬 위 금박 요철. Cuzin.

163 x 105 mm.

더 읽기

가장 희귀한 대규모의 초판 초대작 중 하나 피에르 코르네유의 작품집 으로 프랑수아 쇼보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39개의 구리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I. 부분: 서두에는 왕관을 들고 있는 두 명의 큐피드가 위에 있는 카르투슈가 있으며, 카르투슈의 중앙에는 제목과 날짜 1660이 쓰여 있습니다.

이 책은 8개의 작품(멜리트에서 환상까지) 각 작품마다 그림이 하나씩 포함되어 있습니다. 멜리트, 클리탕드르, 과부, 추종자, 왕의 광장, 환상의 그림은 F. C(쇼보), 델린.; H. D(데이비드), 스컬프.; 팔라스 갤러리메데아의 그림은 L. S(피링스) 서명입니다.

        II. 부분: 서두에는 두 명의 큐피드가 트럼펫을 불고 있는 카르투슈가 있으며, 1660이라는 날짜가 있습니다. 이 책에는 시드, 호라스, 시나, 폴리큐트, 폼페이, 테오도르, 거짓말쟁이거짓말쟁이 시리즈까지 8개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드, 시나, 폴리큐트, 거짓말쟁이, 거짓말쟁이 시리즈, 테오도르의 그림은 쇼보데이비드 서명이 되어 있으며, 호라스의 그림은 피링스, 폼페이의 그림은 서명이 없습니다.

III. Partie : Le frontispice, qui représente un cartouche surmonté d’une corbeille de fleurs, est daté de 1660 et signé : I. Math[eus]f. Le volume renferme 7 pièces accompagnées de 7 figures : Rodogune, Héraclius, Andromède, D. Sanche, Nicomède, Pertharite et Œdipe.

로도구네돈 산체의 그림은 L. 피링스 서명이 있으며, 헤라클리우스, 안드로메다, 페르타리트의 그림은 쇼보데이비드 서명이 되어 있으며, 니코메데오이디푸스의 그림은 마테우스 서명이 되어 있습니다.

Le privilège est daté de janvier 1653, sans indication du quantième ; il est donné pour neuf ans à Corneille lui-même, qui déclare le céder à Augustin Courbé et Guillaume de Luyne, suivant l’accord fait entre eux. On lit à la fin : Achevé d’imprimer pour la première fois, [en] vertu du présent privilège, le dernier d’octobre 1660, à Rouen, par Laurens Maurry.

1664년, 코르네유는 자신의 작품을 처음으로 수정하였으며, 1648년에 발표된 두 번째 부분에 몇 가지 변화를 도입하였습니다. 이후의 판본들은 시인의 고정된 문장을 충실하게 재현하였습니다. 1660년, 코르네유는 자신의 극장을 다시 고쳐 썼습니다. 그는 이전에 채택했던 형식을 확장하고, 각 권의 앞머리에 특별히 쓴 디스코스와 각 작품의 검토를 포함시켰습니다.

코르네유 자신은 1660년 8월 25일에 작성된 퓌레 신부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새로운 컬렉션의 출판이 그에게 준 고통을 설명합니다. 특히 디스코스의 제작에 대해:

« Je suis, dit-il, à la fin d’un Travail fort pénible sur une matière fort délicate. J’ay traité en trois Préfaces les principales questions de l’art poétique sur mes trois volumes de Comédies. J’y ay fait quelques explications nouvelles d’Aristote, et avancé quelques propositions, et quelques maximes inconnues à nos Anciens. J’y réfute celles sur lesquelles l’Académie a fondé la condamnation du Cid, et ne suis pas d’accord avec Mr d’Aubignac de tout le bien mesme qu’il a dit de moy. Quand cela paroistra, je ne doute point qu’il ne donne matière aux Critiques, prenez un peu ma protection. Ma première Préface examine si l’utilisté ou le plaisir est le but de [la] Poésie Dramatique, de quelles utilités elle est capable et quelles en sont les parties, tant intégrales comme le Sujet et les mœurs, que de quantité comme le Prologue, l’Épisode et l’Exode. Dans la seconde je traite des conditions du Sujet de la belle tragédie, de quelle qualité doivent estre les incidents qui la composent et les personnages qu’on y introduit afin de sentir la pitié et la crainte, comment se fait la purgation des passions par cette pitié et la crainte, et des moyens de traiter les choses selon le vraysemblable ou le nécessaire. Je parle en la troisième des trois unitez, d’action, de jour et de lieu. Je croy qu’après cela, il n’y a plus guère de questions d’importance à remuer et que le reste n’est que la broderie qui (sic) peuvent ajouter la Rhétorique, la Morale et la Politique. » (Marty-Laveaux, t. xè, pp. 486 이하; 원본은 국립 도서관, 불문, n° 12763, folio. 157 이하)

이 판의 매우 드문 일부이며 Corneille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품목 중 하나인 이 판의 대형 여백의 멋진 사본으로, 또한 Corneille의 연극 제3권의 177페이지와 178페이지의 별도 인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출처: Weber의 소장 도서 표기와 함께.

정보 줄여보기

추가 정보

Auteur

코르네유, 피에르

Éditeur

Imprimé à Rouen, et se vend à Paris, chez Augustin Courbé Et chez Guillaume de Luyne, 1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