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BATIER DE CASTRES, Abbé Les trois Siècl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ou tableau de l’esprit de nos écrivains, depuis François Ier, jusqu’en 1779 : par ordre alphabétique.

가격 : 23.000,00 

티아농 성에 있는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개인 도서관을 위해 특별히 제본된 귀하고 아름다운 사본.
Trois siècl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의 부분 초판본. 사트레의 사바티에 신부.

1개 재고

SKU: LCS-18431 카테고리: ,

라 헤이와 파리, 무타르드, 1779년.

12판 4권:0 I/cvii pp. (21페이지 약간 파손), 387 페이지;0 II/(1)장, 488 페이지;0 III/(1)장, 454 페이지;0 IV/(1)장, 443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에 흰 여백의 약간 파손.

모든 면에 마리-앙투아네트 왕비의 문장이 박힌, 전체적으로 반점이 든 송아지 가죽 제본, 왕관 아래 작은 금박 틀로 둘러싸임, 리본과 떡잎이 장식된 매끄러운 등, 녹색 모로코의 제목 부분, 금빛 글자로 된 제목, 왕관 아래 “트리아농 성” (Petit Trianon)용 금 도장이 찍힌, 모든 가장자리에 점이 찍힌, 시대의 왕족 제본. 당대의 왕실 제본.

167 x 99 mm.

더 읽기

Trois siècl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초판 부분인 사바티에 드 카스트르 신부의 « 작품입니다.

Sabatier a souvent attaqué durement Voltaire dans Les Trois siècles. Voltaire, bien entendu, a vivement réagi. Il l’appelait l’abbé Sabotier (M, t. X, p. 197 ; t. XXIX, p. 39). Dans sa correspondance, il n’a pas de mots assez durs contre « le plus vil des scélérats » (D19090). Dans l’Épître dédicatoire aux Lois de Minos, Sabatier est considéré comme « l’écrivain le plus misérable et le plus bas » qu’on puisse imaginer (M, t. VII, p. 172). Sabatier n’était pas seulement opposé à Voltaire, mais à tout le mouvement des Lumières. Il s’agit d’une « Philosophie tyrannique et inconséquente […] [qui] suffoque ou corrompt le germe du talent » (T.S., t. I, p. 1-2). Bref, la littérature nouvelle se caractérise par « un ton imposant, un style dogmatique, un jargon maniéré, des phrases sentencieuses, des sentiments enthousiastes, la répétition de ces mots parasites humanité, vertu, raison, tolérance, bonheur, esprit philosophique, amour du genre humain et mille autres termes qui sont devenus la sauvegarde des inepties » (Corr. litt., p. 241). Dans Les Trois siècles, Condorcet, Diderot, Duclos, Marmontel sont traités sans ménagement ; seuls Condillac et Rousseau trouvent grâce aux yeux de Sabatier, Rousseau surtout : « on ne peut lui disputer la gloire de l’éloquence et du génie et d’être l’écrivain le plus mâle, le plus profond, le plus sublime de ce siècle » (t. IV, p. 139).

Les Trois siècl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는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지만 많은 적들을 만들었다. 사바티에에게서 세기의 세기의 저자임을 반박받았다.

석신부 마르탱은 사바티에가 매일 아침 양식과 교육을 받기 위해 다녔다 (M.S., 1774년 8월 7일, t. VII, p. 225)고 정의하였다. 마르탱은 J. 레누아르-듀파르크가 Les Trois siècl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1774)의 저자로 인정한 사람이었다. 신부 보두앵은 이 해석을 옹호하였다. 이 사건은 1780년 5월 샤틀레에서 재판이 시작될 때까지 지연되었으며, 마르탱은 그 사이에 사망하였다.

Finalement, une sentence du 4 juillet 1780 trancha l’affaire : Sabatier devra reconnaître par écrit que l’abbé Beaudoin est « un homme de probité et d’honneur » ; chaque partie devra renoncer à ses prétentions quant aux dommages et intérêts ; enfin, les frais de la sentence incomberont à Sabatier. Palissot se plaint, dans les Mémoires sur la littérature, d’avoir été plagié par Sabatier. Les Mémoires, dit-il, ont été « presque toujours pillés et déshonorés dans ce qu’il [Sabatier] a dit d’un peu raisonnable » (Palissot, t. V, p. 309). Sabatier s’en défend dans ses Articles inédits de la 7ème édition des Trois siècles, (p. 14-16). D’après les M.S., c’est grâce à la « réputation » que lui ont faite ses Trois siècles dans « le parti adverse » que Sabatier dut en janvier 1776 sa nomination de précepteur des enfants de Vergennes, ministre des Affaires étrangères.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개인 도서관을 위해 특별히 장정된 귀중하고 아름다운 본입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예술을 장려하여 글루크를 지원하고, 있다 칫물 대신 감사 교감과 델릴을 보호하며, 그녀는 악한 시절의 장기적인 고통에서 위대한 마리 테레사의 자손으로서 품위를 갖추고 있었다.

그녀의 도서관은 당대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였으며, 희극, 소설, 그리고 당시 여성들 사이에서 순수하고 덕망 있는 여성들 사이에 널리 읽혔던 작은 유행서적들을 포함하여 대량으로 비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류의 정신의 걸작들이 파스칼, 보쉬에, 페넬론, 부르달루에, 마시용, 보일로, 장-바티스트 루소, 코르네유, 몰리에르, 라신, 레냐르, 볼테르와 같이 가장 저명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이름들을 열거하며 카탈로그를 탐방할 수 있다.

작은 트리아농의 책장에 놓여 있던 책들은 대체로 베르사유에 남아 있고, 일부는 국립 도서관의 풍부한 기여에 추가되었다. 다른 책들은 1795년 각 지역 중앙 학교 설립 당시 페리고와 부르주로 옮겨져 나중에 공공 도서관에 기증되었다. 이 책들은 종종 암갈색이 분홍색 바탕에 검정 점으로 장식된 가죽으로 겸허하게 장정되어 있다. 책의 판면에는 세 겹의 선이 둘러싸고 중앙에 여왕의 문장이 있으며, 뒤에는 약간의 장미문과, 하단에는 C.T. (Château de Trianon)라는 왕관이 씌워진 이니셜이 금색으로 새겨져 있다. 경계는 밝거나 옅은 갈색의 점박이로 되어 있으며 붉게 도배되어 있다. 가죽으로 구성된 후면과 모퉁이가 있는 절반 표지책의 책을 많이 만나볼 수 있다.

작업을 담당했던 작업자의 이름을 피종 남작이 밝혀주었습니다. 송아지 가죽으로 된 표지는 프르니에라는 제본가와 문구업자의 작업장에서 나왔습니다.

이 본은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작은 트리아농 도서관 카탈로그의 번호 554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P. Lacroix, 1863).

정보 줄여보기

추가 정보

Auteur

SABATIER DE CASTRES, Abbé

Éditeur

La Haye et Paris, chez Moutard, 1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