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Antoine de Sommaville & Augustin Courbé, 1643. 왕의 특허와 함께 발행됨.
제판 8페이지 포함, 121페이지 및 특허 1페이지. 특허는 1643년 1월 30일자로, 1643년 10월 20일, 작가의 비용으로 처음 루앙에서 인쇄 완료됨, Laurens Maurry에 의해.
붉은 모로코가죽, 앞판을 장식하는 트리플 금선, 신경식 장식 뒷면, 단면 금선, 내부 롤라이트, 대리석 위에 금박 가장자리. Thibaron-Joly 서명의 제본.
229 x 171 mm.
프랑스 문학의 독창적인 작품 중 하나이자 그랑 코르네유의 가장 희귀한 판본 중 하나입니다.
르 프티, p. 158; 체머진, II, 546; 피코, 비블리오그래피 코르넬렌느, 26.
폴리에욱트는 1643년 초에 마레 극장의 무대에서 상연되었습니다.
« ‘폴리에욱트’의 성공은 눈부셨고, ‘시드’의 성공을 연상시켰습니다. 부르곤느 호텔의 배우들이 이를 상연하여 그 어떤 세속 비극에서도 받은 만큼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 (피코).
가톨릭 신자였던 코르네유가 시적인 동경으로 인해 그의 영웅들로 하여금 더 주목할 만한 행동을 하게 만들면서, 아우구스투스 다음으로 폴리에욱트를 들 수밖에 없었던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직 기독교적 영웅만이 가장 놀랄만한 세속 영웅을 관대한 마음으로 뛰어넘으며; 오직 성인만이 다른 사람에게서는 믿기 어려울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오직 신성한 은총을 받은 사람만이 비범함을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일 수 있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아우구스투스의 관대한 제스처처럼, 폴리에욱트의 행동도 이처럼 비범한 현실성을 갖추고 있었으며 코르네유는 이를 항상 추구해 왔습니다.
Aussi, tandis que les critiques littéraires ne pouvaient qu’approuver la nouvelle tragédie de Corneille, les dévots, qui condamnaient l’idée même de théâtre profane, furent-ils particulièrement choqués de le voir accueillir les choses de la religion. Pour eux, le compromis rêvé par Corneille entre l’esthétique du plaisir et la morale chrétienne – compromis qui permet d’imaginer qu’on puisse faire une œuvre d’art séduisante à partir d’un sujet chrétien – était inacceptable, surtout lorsque l’intrigue osait mêler amour humain et amour divin. Mais l’ensemble du public lui-même, qui fit un triomphe à la pièce, a mal compris (et jusqu’au XVIIIe siècle) le projet de Corneille : il s’est intéressé avant tout à l’intrigue amoureuse et au drame purement humain de Pauline, Sévère et Polyeucte, sans voir que l’histoire des amours de Pauline et de Sévère, aussi touchante et délicate que celles des bergers de la pastorale contemporaine, est inséparable de l’histoire de Polyeucte, dont l’héroïsme serait inconsistant s’il ne s’inscrivait au cœur de l’histoire d’amour. Corneille, dans son « Examen de Polyeucte », qu’il rédigea plus tard, définit assez justement le style de Polyeucte en le comparant à celui de ses autres tragédies : « Le style est souvent d’une beauté qui force l’admiration : les fameuses « Stances » sont un des plus beaux morceaux de tout le théâtre de Corneille. »
코르네유의 비극은 여러 음악 작품의 탄생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가장 최초의 것은 가에타노 도니체티(1797-1848)의 3막 오페라로, 이는 나폴리에서 부르봉 정부에 의해 공연이 금지되었으며, 결국 1840년 2월 파리에서 스크리브의 프랑스어 각색으로 빛을 보았습니다.
폴리에욱트에서 영감을 받은 다른 작품들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1878년에 파리에서 공연된 프랑스 작곡가 샤를 구노(1818-1893)의 오페라입니다.
에그제엠플레어의 아름다운 큰 여백의 코르네유의 가장 희귀한 판본 중 하나로, 유진 파일레과 로버트 호의 도서관에 속해 있으며, 티바론-졸리의 붉은 모로코 제본으로 장식되었습니다.